Do you ~? 주어의 행동/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
Are you ~? 형용사, 명사 등 be동사와 함께 쓰일 때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사용되는 동사에 따라 do가 문장 앞에 나올지, be동사인 are/is가 문장 앞에 나와서 질문할 지가 결정됩니다. be동사가 사용된 문장이라면 주어와 위치를 바꿔서 Are you~?와 같은 형태로 묻고, 일반동사(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쓰인 문장은 do를 사용해서 질문합니다. happy는 ‘행복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므로 be동사와 함께 써서 ‘행복하다 (be happy)’라는 동사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o you happy?는 틀린 문장입니다.
워크북 형용사구 파트
91번- 주관대+be가 어디서생략된건지 햇갈립니다 organ ✔️ can do 제 생각에는 체크 표시 된부분에서 생략된거 같은데 맞나요? can은 조동사고 do는 일반동사여서 생략안된거 맞죠? serious가 형용사여서 주관대+be가 생략된건가요
92번-adventure✔️can be adventure이 중복되서 which가 생략된거 같고 be동사의 유무는 모르겠습니다. 이런 문장에서 be동사는 있었는데 생략된건가요? be동사의 유무는 어떻게 판단하나요 이 문장에서 형용사는 overestimated 맞나요? 그래서 주관대가 생략된건가요? 앞에 can be an 상관없이 뒤에 형용사가 있으면 주관대 생략 가능한건가요
93번-method✔️hasbeen 체크 표시에서 동침이 중복되어 주관대가 있었는데 parenting이 형용사 역할이여서 생략된거 맞나요? 그렇다면 앞의 standard는 상관없이 뒤에 형용사가 있다면 의미승 어색하지 않을 때 생략이 가능한건가요.
91. Sometimes, drugs (which is/that is) not damaging to the stomache organs can do seirous damage to the brain.로 drug와 not damaging 사이에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되었습니다.
not damaging은 drugs를 후치 수식해주고 있는 형용사로, 앞에 which is 또는 that is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92. A life (which is/that is) too full of adventures can be an overstimulated life, in which enough rest is needed로 'A life'와 'too full of adventures' 사이에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되었습니다. too full of adventures는 '모험으로 너무 가득 차있는' 이라는 뜻의 형용사구로 선행사 A life를 수식해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둘 사이에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가 생략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주어는 'A life too full of adventures' 이고 본동사는 can be(조동사+be동사)이고 be동사의 보어로 명사인 'life'가 왔습니다. 여기서의 overstimulated는 life를 꾸며주는 형용사입니다.
93.한글 해석은 아래와 같습니다.
'동침' 방법은 미국 인구의 약 90%에 대한 표준적인 육아 방법이었다. 일본인, 과테말라 마야인, 캐나다 북서부의 이누이트인과 같은 다양한 문화들도 그것을 실천한다.
the standard parenting approach는 하나의 명사구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Other cultures that are as diverse as the Japanese..."와 같이 **"that are"**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형용사구입니다.
91번에서는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이 맞습니다. can은 조동사고 do는 일반동사이기 때문에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입니다. serious가 형용사이기 때문에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이 맞습니다.
92번에서는 be동사가 생략된 것이 맞습니다. adventure가 형용사로 사용되어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입니다. 형용사는 overestimated이 맞습니다. 따라서 주관대가 생략된 것이 맞습니다. 앞에 can be an이 있었더라도 뒤에 형용사가 있으면 주관대가 생략 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93번에서는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이 맞습니다. parenting이 형용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관대+be가 생략된 것입니다. 앞의 standard는 상관없이 뒤에 형용사가 있다면 주관대+be가 생략 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2.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ㅇ 수집항목 : 신청자의 성명, 연락처
ㅇ 개인정보 수집방법 : 신청자가 개인정보처리자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3.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가 운영하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의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ㅇ 보존항목 : 성명, 연락처
ㅇ 보존근거 : 혜택 제공
ㅇ 보존기간 :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