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 ~? 주어의 행동/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
Are you ~? 형용사, 명사 등 be동사와 함께 쓰일 때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사용되는 동사에 따라 do가 문장 앞에 나올지, be동사인 are/is가 문장 앞에 나와서 질문할 지가 결정됩니다. be동사가 사용된 문장이라면 주어와 위치를 바꿔서 Are you~?와 같은 형태로 묻고, 일반동사(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쓰인 문장은 do를 사용해서 질문합니다. happy는 ‘행복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므로 be동사와 함께 써서 ‘행복하다 (be happy)’라는 동사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o you happy?는 틀린 문장입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이게 목적으로 쓰일 때 이렇게 who와 that are를 생략하고 들으가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에서 언급하신 것은 '목적어'를 의미하신 것 같아 보입니다. I know people who are working이라는 문장에서 people은 전체 문장에서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people처럼 명사가 목적어로 사용될 때 뒤에 수식 되는 관계대명사절에서 who/that + are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로 설명하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관계 대명사 생략은 빈칸에 이미 언급된 대명사를 생략하여 문장을 간결하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목적대명사로 쓰일 때, 현재분사나 과거분사와 함께 사용될 때, 또는 전치사구와 함께 사용될 때 가능합니다. 각각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해볼까요?
1. 목적대명사로 쓰일 때 예시: "I know the people who are working." → "I know the people working."
2. 관계대명사 + 현재분사 예시: "The team that is playing well will win." → "The team playing well will win."
3. 관계대명사 + 과거분사 예시: "The book that was written by J.K. Rowling is famous." → "The book written by J.K. Rowling is famous."
4. 관계대명사 + 전치사구 예시: "The house where I grew up is in the countryside." → "The house I grew up in is in the countryside."
이렇게 관계 대명사 생략을 사용하면 문장이 더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기초 강좌에서도 이러한 규칙을 익숙해지도록 실습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추가 질문이 있거나 더 설명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2.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ㅇ 수집항목 : 신청자의 성명, 연락처
ㅇ 개인정보 수집방법 : 신청자가 개인정보처리자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3.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가 운영하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의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ㅇ 보존항목 : 성명, 연락처
ㅇ 보존근거 : 혜택 제공
ㅇ 보존기간 :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