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 ~? 주어의 행동/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
Are you ~? 형용사, 명사 등 be동사와 함께 쓰일 때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사용되는 동사에 따라 do가 문장 앞에 나올지, be동사인 are/is가 문장 앞에 나와서 질문할 지가 결정됩니다. be동사가 사용된 문장이라면 주어와 위치를 바꿔서 Are you~?와 같은 형태로 묻고, 일반동사(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쓰인 문장은 do를 사용해서 질문합니다. happy는 ‘행복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므로 be동사와 함께 써서 ‘행복하다 (be happy)’라는 동사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o you happy?는 틀린 문장입니다.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한 답변 전달드립니다.
우선 "so that"은 '~하기 위해서, 그래서'라는 의미의 접속사입니다.
해당 문장에서는 '사람 그리고 사람이 아닌 것을 목록화'한 목적을 'so that~'이하에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on which'의 경우, '전치사 +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로 활용되는 경우입니다.
해당 부분에서 'on which'는 관계부사 'where'로 대체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관계부사 'where'는 선행사로 '장소'를 갖지만, 상황, 분야, 조건의 경우에도 관계부사 'wher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의 주신 문장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드리면,
'몇 년동안 그는 사람과 상황(물체)에 관한 모든 문단을 목록화하는 체계를 취했는데, 이는 셜록홈즈가 한 번에 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를 위함이였다'
so that과 that은 문법적으로 세트로 사용되어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목적절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so that it was difficult to name"은 어떤 결과로 인해 무엇을 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그 다음에 나오는 "on which"는 관계대명사이며, 선행사는 앞에 나온 명사나 대명사입니다. 여기서 "on which"는 무엇을 가리키는지를 나타내는 관계절의 요소로 사용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at once furnish 하지못해서 docketing 햇다는건가요?"는 조금 어색한 표현이지만, 올바른 해석은 "즉각적으로 제공하지 못해서 메모를 해야 했다는 것인가요?"입니다. 이 문장은 무언가를 바로 제공하지 못해서 대신 메모한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ㅇ 수집항목 : 신청자의 성명, 연락처
ㅇ 개인정보 수집방법 : 신청자가 개인정보처리자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3.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가 운영하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의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ㅇ 보존항목 : 성명, 연락처
ㅇ 보존근거 : 혜택 제공
ㅇ 보존기간 :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