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you ~? 주어의 행동/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일반동사 (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
Are you ~? 형용사, 명사 등 be동사와 함께 쓰일 때
의문문을 만들 때에는 사용되는 동사에 따라 do가 문장 앞에 나올지, be동사인 are/is가 문장 앞에 나와서 질문할 지가 결정됩니다. be동사가 사용된 문장이라면 주어와 위치를 바꿔서 Are you~?와 같은 형태로 묻고, 일반동사(be동사, 조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쓰인 문장은 do를 사용해서 질문합니다. happy는 ‘행복한’이라는 뜻의 형용사이므로 be동사와 함께 써서 ‘행복하다 (be happy)’라는 동사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o you happy?는 틀린 문장입니다.
배운 것들 복습하다가 궁금증이 생겼어요!
should, have to, must 모두 ‘~해야(만) 하다’ 뜻인데,
각 단어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1. 세 단어별로 어감이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는지 궁금해요. (전부 같은 동급의 어감일까요?)
2-1. can과 should 상황별 사용 선택중,
—can get 받으면 돼(받을 수 있어) / can't get 받으면 안 돼(받을 수 없어)
—should get 받아야 해 / shouldn't get 받으면 앙 돼
—can give 주면 돼(줄 수 있어) / can't give 주면 안 돼 (줄 수 없어)
—should give 줘야 해 / shouldn't give 주면 안 돼
제 해석이 맞나요?
2-2. 그럼 상황에 따라 동일하게 쓸 수 있을까요?
can't get = shouldn't get
can't give = shouldn't give
1. should/ have to/ must의 차이점
-> should
: 3가지 동사 중 "~해야만 한디"라는 의무 사항의 정도가 가장 낮습니다.
:Should는 일반적으로 '어떤 생각이 좋다'와 같은 충고나 제안의 상황에서 많이 쓰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해야하는 의무사항이나 필수적인 뉘앙스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Ex) You should wear a helmet when riding a bicycle.
-> have to
: 규칙, 법률 또는 다른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무엇인가 필요하다고 표시되면 사용합니다
Ex) I have to finish this assignment by borrow.
-> must
: 세 가지 조동사 중 가장 강한 표현입니다.
보통 매우 강한 금지, 의무 필요할 때 사용이 되며, 어떤 텍스트로 강한 금지, 의무 사항을 표현할 때도 사용 됩니다.
Ex) You must stop at a red light.
2. can & should
: 회원님이 님겨주신 한국어 1:1 의미는 맞습니다.
다만, can't get & shouldn't get은 동일하게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can의 경우, '능력, 허락'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지만, 'should'의 경우 '충고, 제안, 권장되지 않는 사항'등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 됩니다.
Ex) You can't drink alcohol. (나이 제한 때문에 술을 구매할 수 없음을 나타낼 때 사용)
You shouldn't drink alcohol. (건강을 위해 술을 피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일 때 사용)
조동사의 경우 한국어와 1:1 딱 맞는 매칭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베이스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많은 예문을 통해 그 뉘앙스를 익숙하게 만드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should, have to, must는 모두 '~해야 한다'라는 의미이지만,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should: ~하는 게 좋다 (조언)
-have to: ~해야 한다 (일정, 약속 등을 지켜야 하는 의무)
-must: 반드시 ~해야 한다 (강한 의무/규칙)
You have to finish the report by today. 너는 오늘까지 보고서를 끝내야 해. (마감 기한이 곧이기 때문에 꼭 해야 한다는 느낌)
You should finish the report by today. 너는 오늘까지 보고서를 끝내는 게 좋을 거야. (해도 되고 안 해도 되지만, 가급적으로 하면 좋은 상황)
You must wear a seatbelt.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지키지 않으면 큰일나는 상황, 강한 의무)
can은 '~할 수 있다'라는 가능의 의미와 '~해도 된다'라는 허락의 의미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should는 '~해야 한다'라는 의미입니다.
can get 받으면 돼(받을 수 있어) / can't get 받으면 안 돼(받을 수 없어)
should get 받아야 해 / shouldn't get 받으면 안 돼
can give 주면 돼(줄 수 있어) / can't give 주면 안 돼 (줄 수 없어)
should give 줘야 해 / shouldn't give 주면 안 돼
위와 같이 해석되고, can은 가능/허락, should는 조언의 뉘앙스이기 때문에 쓰이는 상황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can이 허락의 의미일 때, should와 비슷하게 쓰일 수는 있습니다.
아기에게 초콜릿을 주면 안 돼.
You can't give chocolate to a baby.
You shouldn't give chocolate to a baby.
2.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ㅇ 수집항목 : 신청자의 성명, 연락처
ㅇ 개인정보 수집방법 : 신청자가 개인정보처리자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3.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가 운영하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의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ㅇ 보존항목 : 성명, 연락처
ㅇ 보존근거 : 혜택 제공
ㅇ 보존기간 :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