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질문입니다. 같은 got 과 has의 시제관련 질문입니다.(첫번째 질문에대해 너무 1차원적으로 답변해주시네요.)
this video got/ has~~
왜 시제가 다른가요? had가 과거시점으로 고정되어서 has를 쓰는 것이라면 왜 get을 안쓰고 got을 쓰나요?
got 과 has의 시제가 달라서 질문한 것이고, 시제가 다른 이유에 대해서 명확히 답변 바랍니다.(관용적 이유라면 어떤 부분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건지도 확인바랍니다)
“이 영상이 100만 뷰를 찍었다”는 표현을 영어로 말할 때,
상황과 동사의 성격에 따라 자연스럽게 쓰이는 표현이 달라집니다.
가장 자주 쓰이는 표현은 강의에서 다룬 것처럼
“This video got a million views”와 “This video has a million views”입니다.
이 두 표현의 시제 차이는 단순한 시간 개념이 아니라,
각각의 동사가 가진 의미적 성격에서 비롯됩니다.
먼저 “get”은 동작 동사로,
일반적으로 ‘동작’, ‘변화’, 또는 ‘반복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과거형인 “got”은 어떤 순간에 일이 벌어졌다는 사실을 표현하므로,
“got”을 쓰면 영상이 100만 뷰를 달성한 순간을 강조하는 느낌이 됩니다.
즉, 한 번의 동작이 딱 일어난 사실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 현재형인 “gets”는 반복되는 행동이나 습관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his channel gets a million views per video”처럼
채널 전체의 반복적 경향을 설명할 때는 적절하지만,
특정 영상이 이미 100만 뷰를 기록했다는 사실을 말할 때는 어색해집니다.
한편, “have”는 상태 동사로,
소유나 상태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has”를 쓰면, “지금 이 영상이 100만 뷰 상태에 있다”는 의미가 되며,
과거의 결과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같은 상태 동사라도 “had”는 단독으로 쓰일 경우,
듣는 사람에게 “지금은 그 상태가 아닐 수도 있다”는
애매한 여운을 남기게 됩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쓰이기 위해서는
“삭제되기 전에는” 또는 “조회수가 줄기 전에는”처럼
과거의 또 다른 사건과 함께 문맥 속에 쓰여야 어색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조회수가 100만 뷰를 찍었다는 사실을 말하고 싶을 때는
그 행동이 일어난 순간을 강조하고 싶다면 “got”,
지금도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면 “has”를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이처럼 표현의 선택은 단지 시제의 차이가 아니라,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의 본질적인 성격 차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정 2011.3.29 법률 제10465호]"과 "정보통신망법 [법률 제14080호, 2016.3.22, 일부개정]"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처리자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를 운영하는(주)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입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 정보: (주)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사업자 등록번호:214-87-98782
대표전화 : 02)6409-0878
팩스번호 : 02)6406-1309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12 남중빌딩(여의도동 13-19)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 최광철
2.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ㅇ 수집항목 : 신청자의 성명, 연락처
ㅇ 개인정보 수집방법 : 신청자가 개인정보처리자의 홈페이지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3.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ㅇ 개인정보처리자가 운영하는 시원스쿨 패밀리사이트의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ㅇ 보존항목 : 성명, 연락처
ㅇ 보존근거 : 혜택 제공
ㅇ 보존기간 : 1년